면접은 준비된 생각을 말의 순서로 증명하는 시간이다.
첫 문장은 회사 칭찬이 아니라 내가 바로 할 일이다. 공고의 자격·우대사항을 근거로 입사 직후 역할을 추정하고, 그와 연결된 구체 기여를 약속한다.
“백엔드 베이스지만 프론트 운영도 맡을 수 있습니다. 최근 땡땡에서 정합성·배포 자동화를 해 주간 릴리즈를 안정화했습니다
. 초기 운영과 기능 보완에서 시간을 절약하겠습니다.”
동료 선택 질문엔 성과 중심으로 답하되, 톤은 밝게 마무리한다.
“회사는 성과가 1순위입니다. 다만 신뢰가 있으면 성과가 반복됩니다.”
따뜻함만 말하지 말고 지표 문장으로 닫는다.
롤모델·공백기는 거창함보다 루틴과 결과다.
“문제 정의–해결–회고 루틴을 복제하겠습니다.”
“공백기엔 ○○를 만들어 p95 800→320ms로 개선, 테스트·문서까지 남겼습니다.”
같은 사실도 프레이밍이 중요하다.
“부트캠프에서 떨어진 사람들과 했다”보다 “실력이 검증된 동료들과 팀을 꾸리고 이슈·스프린트를 운영했다”가 면접관의 메모에 남는다.
신입의 빡센 업무엔 동의 + 계획으로 답한다.
“온콜·운영에 빠르게 합류해 런북 표준화, 로그·메트릭·트레이싱으로 SLO를 세우겠습니다.”
신입의 조직 적응력은 곧 동료의 시간을 덜 잡아먹는 능력이다.
자기평가에선 약점 고백을 짧게, 바꾼 행동을 길게.
“수동적이던 때가 있었지만, 스터디/프로젝트를 직접 만들며 리드했고 지금은 적극적으로 일합니다.”
연기는 시작일 뿐, 습관으로 굳혀야 한다.
결론은 언제나 성과로 귀결시켜라.
따뜻한 톤 + 성과의 문장. 이 조합이 면접에서 통한다.
-
이러한 서비스회사, 대기업을 가기위해 이력서 포트폴리오 준비중인 사람! 이직 취준 준비중인 사람 같이 생각등대 컴퍼니와 함께 해보는거 어때 !? 합류하자!
( 말만 거창 ㅎㅎ 오픈카톡임… )
개발자 취업, 이직 준비방 - 생각등대컴퍼니
https://open.kakao.com/o/gmIpnvFg
'백엔드 개발자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사가 전부가 아니다, 적응이 더 중요하다 (1) | 2025.06.29 |
---|---|
현직 대기업, 유니콘 서비스 출신이 추천하는 “백엔드” 필독서 및 커리어 방향 (1) | 2025.06.22 |
백엔드 신입 취준 - 트래픽은 꼭 사용자 요청이어야 할까? (0) | 2025.06.19 |
신입에게 요구하는 역량 : 아키텍처 그리는 역량 (0) | 2025.06.17 |
이력서를 쓸 때, 면접관의 관점을 생각하라. (0) | 2025.02.16 |